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Android
- androidstudio
- bitmap
- BOJ
- Canvas
- CS
- Database
- DBeaver
- DP
- Ecilpse
- Eclipse
- firebase
- git
- github
- GooglePlayServices
- gradle
- IDE
- IntelliJ
- java
- json
- kotlin
- level2
- linux
- mariadb
- MYSQL
- Paint
- permission
- python
- Sorting
- sourcetree
Archives
will come true
[BOJ] 백준 11057번 - 오르막 수 본문
728x90
문제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057
11057번: 오르막 수
오르막 수는 수의 자리가 오름차순을 이루는 수를 말한다. 이때, 인접한 수가 같아도 오름차순으로 친다. 예를 들어, 2234와 3678, 11119는 오르막 수이지만, 2232, 3676, 91111은 오르막 수가 아니다. 수
www.acmicpc.net
풀이

DP테이블을 길이가 i일 때 마지막 수가 j인 오르막 수 개수를 가진 이차원 배열로 선언해두면
dp[i][j] 는 앞서 구해진 길이가 i일 때 마지막 수가 j-1인 오르막 수 개수 + 이전 차례의 길이가 i-1일 때 마지막 수가 j인 오르막 수 개수의 합이된다.
- [i][0] : 다음 차례(i)에서 마지막 수가 0인 오르막 수가 될 수 있는 건 기존(i-1)에 마지막 수가 0이었던 수 밖에 없다. (ex: 00)
- [i][1] : 다음 차례에서 마지막 수가 1인 오르막 수가 될 수 있는 건 기존에 마지막 수가 0, 1이었던 수들이다. (ex : 01, 11)
- [i][2] : 다음 차례에서 마지막 수가 2인 오르막 수가 될 수 있는 건 기존에 마지막 수가 0, 1, 2였던 수들 이다. (ex : 02, 12, 22)
- [i][9] : 다음 차례에서 마지막 수가 9인 오르막 수가 될 수 있는 건 기존에 마지막 수가 0, 1, 2, 3, 4, 5, 6, 7, 8, 9였던 수들이다.
코드
import java.util.Arrays;
import java.util.Scanner;
// 오르막 수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n = sc.nextInt();
// dp[N][L] = 수의 길이가 N일 때, 마지막 수가 L인 오르막 수 개수
long[][] dp = new long[1001][10];
// dp[1] 배열 초기화 { 0, 1, 2, 3, 4, 5, 6, 7, 8, 9 }
for (int i = 0; i < 10; i++) {
dp[1][i] = 1;
}
// DP BottomUp
for (int i = 2; i <= n; i++) {
dp[i][0] = 1; // 마지막 수가 0인 오름수가 될 수 있는 건 0000.. 하나밖에 없음
for (int j = 1; j < 10; j++) {
dp[i][j] = (dp[i - 1][j] + dp[i][j - 1]) % 10007;
}
}
long sum = 0;
for (int i = 0; i < 10; i++) {
sum += dp[n][i];
}
System.out.println(sum % 10007);
}
}
728x90